단기 조정 구간, 분할 매수 고려
우리기술은 1993년에 설립되어 2000년 코스닥에 상장된 제어계측 전문기업입니다. 특히 국내 원자력발전소 감시제어시스템을 30년간 공급해왔으며, 유무선 네트워크, 디지털 신호처리 등 첨단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해상풍력, 스마트팜, 방위사업 등 다양한 신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기술의 주가는 3,890원이며, 2025년 9월 12일 기준 직전 거래일 대비 1.64% 하락한 상태입니다. 장기적인 추세 관점에서 우리기술은 모든 이동평균선(20일, 60일, 120일, 240일)의 기울기가 양의 값을 기록하며 견조한 상방 추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는 6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 있지만, 20일, 120일, 240일 이동평균선 위에 위치하며 단기적인 조정을 겪고 있으나 전반적인 상승 흐름은 유효함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2025년 7월 1일에 기록한 52주 및 3년 내 최고가인 5,240원 대비 현재 주가는 약 25% 가량 하락한 상태이며, 주가순자산비율(PBR)이 4.76, 주가수익비율(PER)이 40.52로 다소 높은 수준에 있습니다. 또한, 재무제표 상 순이익이 현재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우려스러운 부분입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현재의 주가 위치는 단기적인 관점에서 접근이 유효해 보이나, 중장기적으로는 추가적인 조정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3개월 이하의 단기 투자 관점:
우리기술은 장기적인 상승 추세 속에서 최근 단기 고점 대비 조정을 받고 있는 구간입니다. 현재 주가는 주요 이동평균선 주변에서 등락을 보이며 지지 여부를 테스트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상대강도지수(RSI)는 중립 수준이며, 추세 매수 신호가 관측되고 있어 단기적인 기술적 반등 가능성은 열려 있습니다. 이 조정 구간을 활용하여 신중하게 접근한다면 단기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매수: 3,700원 ~ 3,750원 (최근 주가 흐름에서 지지선을 형성했던 구간을 고려하여 추가 하락 시 분할 매수)
- 매도: 4,200원 (최근 강한 저항을 보였던 단기 고점 수준)
- 손절: 3,500원 (추세 이탈 및 추가 하락 가능성에 대비하여 설정)
- 기대수익: 약 13%
1년 스윙 및 3년 이상의 장기 투자 관점:
우리기술은 5년 최저가인 816원(2020년 9월 23일) 대비 52주 및 3년 최고가인 5,240원(2025년 7월 1일)까지 약 542% 급등하며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이처럼 단기간에 상당한 상승을 보인 후 현재는 고점 대비 약 25% 가량 조정을 받고 있으며, PBR(4.76)과 PER(40.52)이 모두 높은 수준에 있습니다. 특히 회사의 순이익이 현재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은 높은 밸류에이션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킵니다.
따라서 1년 스윙 및 3년 이상의 장기 투자 관점에서는 현재 시점에서의 신규 매수는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 단기적인 반등 가능성은 있지만, 고평가 부담과 실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추가적인 조정 가능성이 더 크다고 판단됩니다. 현재 가격에서는 투자를 보류하시고, 최소한 3,000원 이하, 혹은 2,500원대까지 주가가 충분히 조정되는 시점을 기다려 재무 상태 개선과 성장 동력의 구체화 여부를 확인한 후 접근하는 것이 안전한 전략입니다.
기존 주식 보유자의 전략:
우리기술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우상향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 보유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모든 장기 이동평균선들이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어 추세적으로는 여전히 상승 여력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현재 52주 및 3년 최고가인 5,240원까지 재차 상승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최근 고점 대비 약 25%의 조정이 있었고, 높은 PBR과 PER, 그리고 순이익 적자 상황은 향후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 보유자분들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비중을 유지하되, 만약 주가가 3,000원 선(120일 이동평균선 부근)을 하향 이탈한다면 추가적인 하락 리스크 관리를 위해 일부 비중을 축소하거나 손절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대로 주가가 강한 반등을 보이며 4,200원 이상의 안정적인 흐름을 보인다면, 5,240원까지의 추가 상승을 기대하며 보유하는 전략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현재 구간에서의 섣부른 물타기는 추가 하락 시 손실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접근하시길 바랍니다.